* 복건성
중국 남동부 연해에 대만과 마주 위치한 복건성은 산이 많은 지역으로 면적의 대부분이 산지와 구릉이며 그 사이에 하곡과 분지가 자리잡고 있다. 해안은 굴곡이 심한 리아스식 해안이며, 해안선의 길이는 280km나 된다.
기후는 전형적인 몬순기후이고 겨울에도 눈이 내리지 않고 연평균 기온은 20℃, 연평균 강수량은 1,200∼2,000mm이다.
“강남의 산지”라고 불리는 복건은 중국이 세계와 왕래하는 중요한 창구와 기지이며 중국의 이름난 화교의 고향이다.
관광명소로는 복주, 무이산 풍경구, 금삼각 유람구, 고랑서, 마조묘와 마조제가 있다.
* 무이산
무이산(武夷山)은 복건성(福建省)에 위치하여, 중국 동남쪽에서 경치가 으뜸이라 꼽혀온 명산이다.
기이함과 수려함으로 이름난 무이산은 물이 옥같이 맑고 산봉이 비취같이 푸르고 기이한 암석과 동굴들이 많으며 태산의 웅위로움과 화산의 험준함, 황산의 기이함, 계림의 수려함을 모두 담고 있다.
무이산에는 36개의 봉우리와 99개의 암석, 2개의 병풍절벽, 8개의 고개, 3개의 바위암봉이 있고, 계곡도 많아 4개의 계곡, 9개의 여울, 5개의 웅덩이, 11개의 골짜기, 13개의 샘이 있다.이 지역에는 약 4천년 전에 월족(越族)이 살아 가학선관(架壑船棺)의 전설을 남기고 있고, 한대에는 명산으로 봉해져서 유(儒) 불(佛) 도(道) 삼교의 자취가 여전히 남아있다.
이곳 사람들은 "동주에서 공자가 나왔고 남송에는 주자가 있으니, 중국의 옛 문화는 태산과 무이로다"(東周出孔丘 南宋有朱熹 中國古文化 泰山與武夷)란 말로 무이산을 칭송한다.
주나라의 공자가 태산에서 유학을 창시하였듯이, 남송때 주자는 무이산에서 신유학인 주자학을 성립하였다는 말이다. 이와 같이 무이산은 신유학 즉 성리학과 관련된다. 무이산은 주자가 무이정사(武夷精舍)에 은거하여 학문을 연구하고 제자를 양성하였기에 우리에게도 낯설지 않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무이정사에서 서원의 모범을 찾았고, 주자의 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를 읊으면서 주자를 흠모했다.
그러기에 율곡 이이(栗谷 李珥)는 해주 석담에 은거하며 무이산 은병봉(隱屛峯)에서 이름을 따와 은병정사(隱屛精舍)를 지었으며 무이구곡가를 본따서 고산구곡가(孤山九曲歌)를 지어 우리 산천을 노래했다.
그 후에도 우암 송시열(尤菴 宋時烈)은 화양계곡에 은거하며 화양구곡(華陽九曲)이라 이름하였다.
또한 경상도 안동에 있는 병산서원(屛山書院)의 이름도 무이산과 관련있다.
천유봉은 천길의 절벽위에 암봉이 우뚝 솟은 무이산 최고의 절경이다.
그래서 예로부터 천유봉을 무이산 제일의 경치(武夷第一勝景)라 했고, 천유봉에 오르지 않으면 무이산을 구경한 것이 아니라고 했다. 실같이 이어진 좁은 길을 올라 정상에 이르면 수많은 봉우리가 내려다 보이고, 구곡의 돌아드는 모습이 완연히 눈에 들어온다.
천유봉은 높이로 말하면 삼앙봉에 미치지 못하고, 우뚝한 모습으로 말하면 대왕봉에 미치지 못하고, 수려함으로 말하면 옥녀봉에 비치지 못하고, 험한 것으로 말하면 접순봉에 미치지 못하나 천유봉은 무이산 최고의 절경으로 꼽힌다.
,
* 복건성
중국 남동부 연해에 대만과 마주 위치한 복건성은 산이 많은 지역으로 면적의 대부분이 산지와 구릉이며 그 사이에 하곡과 분지가 자리잡고 있다. 해안은 굴곡이 심한 리아스식 해안이며, 해안선의 길이는 280km나 된다.
기후는 전형적인 몬순기후이고 겨울에도 눈이 내리지 않고 연평균 기온은 20℃, 연평균 강수량은 1,200∼2,000mm이다.
“강남의 산지”라고 불리는 복건은 중국이 세계와 왕래하는 중요한 창구와 기지이며 중국의 이름난 화교의 고향이다.
관광명소로는 복주, 무이산 풍경구, 금삼각 유람구, 고랑서, 마조묘와 마조제가 있다.
* 무이산
무이산(武夷山)은 복건성(福建省)에 위치하여, 중국 동남쪽에서 경치가 으뜸이라 꼽혀온 명산이다.
기이함과 수려함으로 이름난 무이산은 물이 옥같이 맑고 산봉이 비취같이 푸르고 기이한 암석과 동굴들이 많으며 태산의 웅위로움과 화산의 험준함, 황산의 기이함, 계림의 수려함을 모두 담고 있다.
무이산에는 36개의 봉우리와 99개의 암석, 2개의 병풍절벽, 8개의 고개, 3개의 바위암봉이 있고, 계곡도 많아 4개의 계곡, 9개의 여울, 5개의 웅덩이, 11개의 골짜기, 13개의 샘이 있다.이 지역에는 약 4천년 전에 월족(越族)이 살아 가학선관(架壑船棺)의 전설을 남기고 있고, 한대에는 명산으로 봉해져서 유(儒) 불(佛) 도(道) 삼교의 자취가 여전히 남아있다.
이곳 사람들은 "동주에서 공자가 나왔고 남송에는 주자가 있으니, 중국의 옛 문화는 태산과 무이로다"(東周出孔丘 南宋有朱熹 中國古文化 泰山與武夷)란 말로 무이산을 칭송한다.
주나라의 공자가 태산에서 유학을 창시하였듯이, 남송때 주자는 무이산에서 신유학인 주자학을 성립하였다는 말이다. 이와 같이 무이산은 신유학 즉 성리학과 관련된다. 무이산은 주자가 무이정사(武夷精舍)에 은거하여 학문을 연구하고 제자를 양성하였기에 우리에게도 낯설지 않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무이정사에서 서원의 모범을 찾았고, 주자의 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를 읊으면서 주자를 흠모했다.
그러기에 율곡 이이(栗谷 李珥)는 해주 석담에 은거하며 무이산 은병봉(隱屛峯)에서 이름을 따와 은병정사(隱屛精舍)를 지었으며 무이구곡가를 본따서 고산구곡가(孤山九曲歌)를 지어 우리 산천을 노래했다.
그 후에도 우암 송시열(尤菴 宋時烈)은 화양계곡에 은거하며 화양구곡(華陽九曲)이라 이름하였다.
또한 경상도 안동에 있는 병산서원(屛山書院)의 이름도 무이산과 관련있다.
천유봉은 천길의 절벽위에 암봉이 우뚝 솟은 무이산 최고의 절경이다.
그래서 예로부터 천유봉을 무이산 제일의 경치(武夷第一勝景)라 했고, 천유봉에 오르지 않으면 무이산을 구경한 것이 아니라고 했다. 실같이 이어진 좁은 길을 올라 정상에 이르면 수많은 봉우리가 내려다 보이고, 구곡의 돌아드는 모습이 완연히 눈에 들어온다.
천유봉은 높이로 말하면 삼앙봉에 미치지 못하고, 우뚝한 모습으로 말하면 대왕봉에 미치지 못하고, 수려함으로 말하면 옥녀봉에 비치지 못하고, 험한 것으로 말하면 접순봉에 미치지 못하나 천유봉은 무이산 최고의 절경으로 꼽힌다.
,
* 복건성
중국 남동부 연해에 대만과 마주 위치한 복건성은 산이 많은 지역으로 면적의 대부분이 산지와 구릉이며 그 사이에 하곡과 분지가 자리잡고 있다. 해안은 굴곡이 심한 리아스식 해안이며, 해안선의 길이는 280km나 된다.
기후는 전형적인 몬순기후이고 겨울에도 눈이 내리지 않고 연평균 기온은 20℃, 연평균 강수량은 1,200∼2,000mm이다.
“강남의 산지”라고 불리는 복건은 중국이 세계와 왕래하는 중요한 창구와 기지이며 중국의 이름난 화교의 고향이다.
관광명소로는 복주, 무이산 풍경구, 금삼각 유람구, 고랑서, 마조묘와 마조제가 있다.
* 무이산
무이산(武夷山)은 복건성(福建省)에 위치하여, 중국 동남쪽에서 경치가 으뜸이라 꼽혀온 명산이다.
기이함과 수려함으로 이름난 무이산은 물이 옥같이 맑고 산봉이 비취같이 푸르고 기이한 암석과 동굴들이 많으며 태산의 웅위로움과 화산의 험준함, 황산의 기이함, 계림의 수려함을 모두 담고 있다.
무이산에는 36개의 봉우리와 99개의 암석, 2개의 병풍절벽, 8개의 고개, 3개의 바위암봉이 있고, 계곡도 많아 4개의 계곡, 9개의 여울, 5개의 웅덩이, 11개의 골짜기, 13개의 샘이 있다.이 지역에는 약 4천년 전에 월족(越族)이 살아 가학선관(架壑船棺)의 전설을 남기고 있고, 한대에는 명산으로 봉해져서 유(儒) 불(佛) 도(道) 삼교의 자취가 여전히 남아있다.
이곳 사람들은 "동주에서 공자가 나왔고 남송에는 주자가 있으니, 중국의 옛 문화는 태산과 무이로다"(東周出孔丘 南宋有朱熹 中國古文化 泰山與武夷)란 말로 무이산을 칭송한다.
주나라의 공자가 태산에서 유학을 창시하였듯이, 남송때 주자는 무이산에서 신유학인 주자학을 성립하였다는 말이다. 이와 같이 무이산은 신유학 즉 성리학과 관련된다. 무이산은 주자가 무이정사(武夷精舍)에 은거하여 학문을 연구하고 제자를 양성하였기에 우리에게도 낯설지 않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무이정사에서 서원의 모범을 찾았고, 주자의 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를 읊으면서 주자를 흠모했다.
그러기에 율곡 이이(栗谷 李珥)는 해주 석담에 은거하며 무이산 은병봉(隱屛峯)에서 이름을 따와 은병정사(隱屛精舍)를 지었으며 무이구곡가를 본따서 고산구곡가(孤山九曲歌)를 지어 우리 산천을 노래했다.
그 후에도 우암 송시열(尤菴 宋時烈)은 화양계곡에 은거하며 화양구곡(華陽九曲)이라 이름하였다.
또한 경상도 안동에 있는 병산서원(屛山書院)의 이름도 무이산과 관련있다.
천유봉은 천길의 절벽위에 암봉이 우뚝 솟은 무이산 최고의 절경이다.
그래서 예로부터 천유봉을 무이산 제일의 경치(武夷第一勝景)라 했고, 천유봉에 오르지 않으면 무이산을 구경한 것이 아니라고 했다. 실같이 이어진 좁은 길을 올라 정상에 이르면 수많은 봉우리가 내려다 보이고, 구곡의 돌아드는 모습이 완연히 눈에 들어온다.
천유봉은 높이로 말하면 삼앙봉에 미치지 못하고, 우뚝한 모습으로 말하면 대왕봉에 미치지 못하고, 수려함으로 말하면 옥녀봉에 비치지 못하고, 험한 것으로 말하면 접순봉에 미치지 못하나 천유봉은 무이산 최고의 절경으로 꼽힌다.
,
* 복건성
중국 남동부 연해에 대만과 마주 위치한 복건성은 산이 많은 지역으로 면적의 대부분이 산지와 구릉이며 그 사이에 하곡과 분지가 자리잡고 있다. 해안은 굴곡이 심한 리아스식 해안이며, 해안선의 길이는 280km나 된다.
기후는 전형적인 몬순기후이고 겨울에도 눈이 내리지 않고 연평균 기온은 20℃, 연평균 강수량은 1,200∼2,000mm이다.
“강남의 산지”라고 불리는 복건은 중국이 세계와 왕래하는 중요한 창구와 기지이며 중국의 이름난 화교의 고향이다.
관광명소로는 복주, 무이산 풍경구, 금삼각 유람구, 고랑서, 마조묘와 마조제가 있다.
* 무이산
무이산(武夷山)은 복건성(福建省)에 위치하여, 중국 동남쪽에서 경치가 으뜸이라 꼽혀온 명산이다.
기이함과 수려함으로 이름난 무이산은 물이 옥같이 맑고 산봉이 비취같이 푸르고 기이한 암석과 동굴들이 많으며 태산의 웅위로움과 화산의 험준함, 황산의 기이함, 계림의 수려함을 모두 담고 있다.
무이산에는 36개의 봉우리와 99개의 암석, 2개의 병풍절벽, 8개의 고개, 3개의 바위암봉이 있고, 계곡도 많아 4개의 계곡, 9개의 여울, 5개의 웅덩이, 11개의 골짜기, 13개의 샘이 있다.이 지역에는 약 4천년 전에 월족(越族)이 살아 가학선관(架壑船棺)의 전설을 남기고 있고, 한대에는 명산으로 봉해져서 유(儒) 불(佛) 도(道) 삼교의 자취가 여전히 남아있다.
이곳 사람들은 "동주에서 공자가 나왔고 남송에는 주자가 있으니, 중국의 옛 문화는 태산과 무이로다"(東周出孔丘 南宋有朱熹 中國古文化 泰山與武夷)란 말로 무이산을 칭송한다.
주나라의 공자가 태산에서 유학을 창시하였듯이, 남송때 주자는 무이산에서 신유학인 주자학을 성립하였다는 말이다. 이와 같이 무이산은 신유학 즉 성리학과 관련된다. 무이산은 주자가 무이정사(武夷精舍)에 은거하여 학문을 연구하고 제자를 양성하였기에 우리에게도 낯설지 않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무이정사에서 서원의 모범을 찾았고, 주자의 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를 읊으면서 주자를 흠모했다.
그러기에 율곡 이이(栗谷 李珥)는 해주 석담에 은거하며 무이산 은병봉(隱屛峯)에서 이름을 따와 은병정사(隱屛精舍)를 지었으며 무이구곡가를 본따서 고산구곡가(孤山九曲歌)를 지어 우리 산천을 노래했다.
그 후에도 우암 송시열(尤菴 宋時烈)은 화양계곡에 은거하며 화양구곡(華陽九曲)이라 이름하였다.
또한 경상도 안동에 있는 병산서원(屛山書院)의 이름도 무이산과 관련있다.
천유봉은 천길의 절벽위에 암봉이 우뚝 솟은 무이산 최고의 절경이다.
그래서 예로부터 천유봉을 무이산 제일의 경치(武夷第一勝景)라 했고, 천유봉에 오르지 않으면 무이산을 구경한 것이 아니라고 했다. 실같이 이어진 좁은 길을 올라 정상에 이르면 수많은 봉우리가 내려다 보이고, 구곡의 돌아드는 모습이 완연히 눈에 들어온다.
천유봉은 높이로 말하면 삼앙봉에 미치지 못하고, 우뚝한 모습으로 말하면 대왕봉에 미치지 못하고, 수려함으로 말하면 옥녀봉에 비치지 못하고, 험한 것으로 말하면 접순봉에 미치지 못하나 천유봉은 무이산 최고의 절경으로 꼽힌다.